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버스 지하철 가격 상승 에 대안 지하철 버스 정기권

by realcharmingblog 2023. 7. 12.

치솟는 물가 택시의 할증과 더불어 23년 하반기 버스와 지하철 비용도 올린다고 하는데요 더 이상 할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라고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은 생소하실 텐데 지하철 버스 정기권이라고 아시나요? 내년부터는 지하철 버스 통합 정기권 소식이 나오는 가운데 23년 현재 사용가능한  지하철 이용 하시는 분에게 할인에 현금 영수증 제도 적용이 되는 정기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버스 전철 통합 정기권

 

서울 지하철 버스 요금인상

2015년 이후 8년 만에 물가 대책위 심의를 통과하여 서울 지하철 그리고 버스 금액이 8월부터는 상승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실제로 지하철은 10 월 150 원 / 버스는 8 월부터 300 원 실제 체감상 오르는 금액은 적어 보이지만 매일 대중교통을 통하여 직장 혹은 학교에 출퇴근하는 시민 입장에서는 오르지 않는 월급대비 매섭게 오르는 물가가 야속하기만 합니다. 

서울시에서는 해당 인상은 고물가 시대에 쾌적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유지하고 제공하려면 어쩔 수 없었다는 이야기를 하여서 한편으로는 이해가 가기도 하면서 시민들은 반기지 않는 소식이 아닌가 싶습니다. 

서울시 교통비 상승

 

정기권 할인카드 

많은 분들 중 신용카드로 할인을 받으시는 분 혹은  알뜰 교통 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도 계실 텐데요 지하철을 정기적으로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정기권으로 할인을 받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실제 정기권이란? 정기권 카드 (2500원 시중가격)을 종류를 구매하여 충전일 30 일 이내에 60 회까지 사용 가능한 금액이며 사용 구간 은 서울 전용으로 사용 가능 하며 기본 금액은 55,000 원으로 실제 60 회를 전체를 이용하면 한 달에 2만 원 정도의 금액을 할인할 수 있는 정기 권입니다.  실제 구매는 지하철 역무실에서 구매가가능 하며 1회 발매 및 교통 카드 충전기를 이용해서 사용 및 충전이 가능합니다. 

정기권 금액 산정 기준 및 할인 비용 

거리비례용 종별 운임            
종별 정기권 운임 교통카드기준 운임 (이용구간 초과시 추가차감 기준) 종별 정기권 운임 교통카드기준 운임 (이용구간 초과시 추가차감 기준)
1단계 55,000 1,450이내 20km- 1 10단계 87,900 2,350 74km- 1
2단계 58,000 1,550 25km- 1 11단계 91,600 2,450 82km- 1
3단계 61,700 1,650 30km- 1 12단계 95,400 2,550 90km- 1
4단계 65,500 1,750 35km- 1 13단계 99,100 2,650 98km- 1
5단계 69,200 1,850 40km- 1 14단계 102,900 2,750 106km- 1
6단계 72,900 1,950 45km- 1 15단계 106,600 2,850 114km- 1
7단계 76,700 2,050 50km- 1 16단계 110,300 2,950 122km- 1
8단계 80,400 2,150 58km- 1 17단계 114,100 3,050 130km- 1
9단계 84,200 2,250 66km- 1 18단계 117,800 3,150 추가차감 없음

정기권의 기본금액은 55,000 원부터 시작하며 실제로 거리는 단계마다 금액이 미세하게 차이가 납니다. 

실제로 거리 산정 혹은 내가 가는 지역이 금액이 얼마나 가오는 지는  서울교통공사에서 거리 확인으로 확인 이 가능합니다. 

 

서울 교통 공사 바로가기 

서울 교통공사

해당 사이트 로그인 후 경로 찾기로 출발에서 도착을 입력을 합니다. 

정기권 금액

출발과 경유지 및 거리를 입력하면 실제 내가 30일 동안 사용을 하였을 때 부담을

하는 금액이 산정이 나오므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검색은 서울 교통 공사 사이버 스테이션에서 가능합니다. 


ad

정기권 장점과 단점 

장점 

비용

장점 기본요금인 1,250원을 기준으로 60 회 이상을 사용하신다면 실제로는 7만 원 중반의 금액을 교통비로 사용하셔야 하는데 기본요금 55000원 정도의 비용을 소모하니 실제 2만 원 정도의 이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득공제

교통카드 충전을 현금으로만 가능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소득 공제가 가능합니다. 국세청에 카드 번호 등록 시 연말 정산에서 현금영수증 발급이 가능 하니 이 부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단점

기간제 사용 

실제로 해당정기권은 횟수에 대한 사용이 아니라 기간에 대한 사용이므로 30일에 다 사용을 하지 못하거나 정기권을 44회 이하로 사용할 시에는 실제 금액보다 교통비용으로 소비한 금액이 많게 되는데요  정기권이 기간이라는 단점이 있다는 것 구매 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분실의 위험 

카드는 분실되었을 때는 다시 찾지 못하는 이상 신용카드처럼 재발급이 되지 않는 점이 리스클면 리스크 일 것 같습니다. 

 

환승의 불가 

실제 서울 교통 카드처럼 버스 혹은 지하철과는 환승이 되지 않으니 이 부 분또 한 환승을 하시는 분에게는 단점일 수도 있습니다.  해당 부분의 단점을 보완한 알뜰 교통 카드 그리고 

추천하는 대상

정기권은 실제 학생들 혹은 전철을 주기적으로 타는 대상 혹은 주말에는 양도 혹은 다른 분과 교차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실제로 버스 환승보다는 지하철을 오래 타는 신용카드가 없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혹은 주부 일하는 대상으로 지하철을 권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실제적으로 버스 혹은 환승 그리고 간편한 신용카드 하나로 혹은 애플페이 삼성페이 하나로 모든 것을 결제하는 현대인들에게 제약이 있을 수도 있지만 해당 내용을 보완하여 내년에는 지하철 버스 정기권 그리고 비슷한 카드인 알뜰카드도 사용가능 하니 필요에 맞게 정답은 아니지만 지하철 비용을 할인할 수 있는 대안이지 않을까 생각해 보면서 오늘 포스팅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